top

공간정보 로고

첨단 ICT에 기반한 공간정보는 우리 국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산림을 관리하고 지키는 데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해왔다. 특히 ‘한국판 뉴딜정책’에 발맞춰 산림청은 K-Forest(이하, K-포레스트) 추진계획에서 4대 뉴노멀 전략으로 ‘디지털·비대면 기술의 산림분야 도입’, ‘저성장시대, 산림산업활성화’, ‘임업인의 소득안전망 구축’, 그리고 ‘기후위기 시대의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를 제시했다. 전 지구적으로 환경의 보호와 보전이 이슈가 된 지금, 공간정보로 지켜갈 K-포레스트 발전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디지털 기반 산림관리의 필요성

산림은 목재생산과 비목재생산(밤 등 임산물)이라는 경제적 기능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 유지의 생태적 기능 그리고 대기정화, 수자원 공급 등의 공익적 기능과 같이 인간에게 다양한 편익을 제공하고 있다. 유엔식량기구에서 집계한 2020산림자원평가(FAO, 2020)에 따르면 전지구적으로 산림은 전체 육지면적의 31%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전체 국토의 63%(약 630만ha)가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림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임상도를 비롯하여 산림의 효율적인 이용 등 정책적 활용을 위한 산지구분도, 산림기능구분도 등의 산림공간정보가 제작되고 있으며,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위성 및 LiDAR 기술의 발달로 영상의 촬영주기는 점차 짧아지고 있으며, 개체목의 판독이 가능한 공간해상도(1m급 이하), 나무의 입체정보(3D point cloud) 취득이 가능함에 따라 산림분야에서도 공간정보 기반의 디지털 산림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뉴딜과 관련하여 디지털 산림관리는 각 사업목적에 따라 제작되는 부서별 산림공간정보를 하나의 통합플랫폼(데이터 댐)에 수집하여 동일한 산림에서 발생되는 인위적 또는 자연적 변화요인을 시의적절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나무의 생장 및 생물다양성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산림관리를 위한 컨설팅을 지원하고 지자체단위의 산림자원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여 디지털 기반 산림관리가 이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의 산림특성 및 산림공간정보 현황 우리나라의 산림은 전체 국토의 약 63%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면적으로 분포하는 산림의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산림공간정보를 구축하여 정책적 의사결정 및 산림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산림공간정보는 크게 산림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임상도 및 산림입지토양도의 기본도가 있으며, 산림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산지구분도, 산림기능구분도 등이 제작되고 있다(표 참조). 임상도(Forest cover map)는 산림의 공간적 분포를 주기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1960년대부터 항공사진을 판독하여 산림의 경계구획과 산림을 구성하는 입목자원의 속성(임상, 수종, 영급, 울폐도 등)에 따른 주제도로 최근의 임상도는 항공사진 기술의 발달로 임상도의 제작을 위한 축척(Scale)은 1/25천에서 1/5천으로 고도화되었으며, 항공사진이 격년으로 제공됨에 따라 시의성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갱신주기를 단축하기 위한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산림입지토양도는 산림을 구성하는 토양형(토지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주제도로 토양형은 모암, 해발고도, 경사도 등의 지형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지질도 및 수치표고모형(DEM) 자료와 토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제작되었다. 이러한 산림의 기본도는 기후자료 등 다른 공간정보와 융합되어 나무의 생장과 수자원 함량에 관한 공간적 분포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맞춤형 조림지도 및 산림물지도 등의 산림 주제도 제작을 위하여 활용되고 있다. 또한, 산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산림의 이용 목적에 따른 산림공간정보로 산지구분도, 산림기능구분도, 백두산보호지역도 등이 제작되고 있다. 산지구분도는 지적도와 유사한 지도로 산지는 보전산지(임업용산지 및 공익용산지)와 준보전산지로 구분하고 있다. 위의 산림공간정보외에도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제림육성단지구역도, 백두대간보호구역도, 임도망도(산길) 등의 주제도가 제작되고 있으며, 산림의 다양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산림공간정보는 점차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림공간정보의 역할

2020년 7월 문재인 정부는 우리나라의 경제혁신을 위하여 한국판 뉴딜정책을 선언하였으며 뉴딜정책으로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표명하였다. 산림청은 한국판 뉴딜정책을 이행하기 위한 전략으로 K-포레스트 추진계획에서 4대 뉴노멀 전략으로 ‘디지털·비대면 기술의 산림분야 도입’, ‘저성장시대, 산림산업활성화’, ‘임업인의 소득안전망 구축’, 그리고 ‘기후위기 시대의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를 제시했다. K-포레스트 추진계획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술의 산림분야 도입에 의한 산림자원에 관한 정확하고 정밀한 디지털 산림공간정보 구축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 산림은 대부분 복잡한 산악지형에 위치하고 있어 현지방문에 의한 산림자원정보의 취득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효율적이며 정확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드론,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의 원격탐사 기술을 활용한 산림정보를 구축하면 효과적인 디지털 산림정보 구축이 가능하다. 특히 LiDAR 장비는 산림 및 도시권 숲내 입목에 관한 입체정보의 수집이 가능하여 디지털 산림경영, 지능형 산림재해 대응, 도시권 숲의 효과 분석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디지털 트윈기술과 접목해 가상의 숲(VR·AR)을 구현함으로써 비대면 산림복지서비스 및 산림경영의 의사결정 지원 등 다른 중점과제의 실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표] 산림공간정보의 종류 및 특성 비교

[표] 산림공간정보의 종류 및 특성 비교

산림공간정보의 발전 방안

2020년 7월 문재인 정부는 우리나라의 경제혁신을 위하여 한국판 뉴딜정책을 선언하였으며 뉴딜정책으로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표명하였다. 산림청은 한국판 뉴딜정책을 이행하기 위한 전략으로 K-포레스트 추진계획에서 4대 뉴노멀 전략으로 ‘디지털·비대면 기술의 산림분야 도입’, ‘저성장시대, 산림산업활성화’, ‘임업인의 소득안전망 구축’, 그리고 ‘기후위기 시대의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를 제시했다. K-포레스트 추진계획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술의 산림분야 도입에 의한 산림자원에 관한 정확하고 정밀한 디지털 산림공간정보 구축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 산림은 대부분 복잡한 산악지형에 위치하고 있어 현지방문에 의한 산림자원정보의 취득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효율적이며 정확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드론,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의 원격탐사 기술을 활용한 산림정보를 구축하면 효과적인 디지털 산림정보 구축이 가능하다. 특히 LiDAR 장비는 산림 및 도시권 숲내 입목에 관한 입체정보의 수집이 가능하여 디지털 산림경영, 지능형 산림재해 대응, 도시권 숲의 효과 분석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디지털 트윈기술과 접목해 가상의 숲(VR·AR)을 구현함으로써 비대면 산림복지서비스 및 산림경영의 의사결정 지원 등 다른 중점과제의 실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산림공간정보의 역할

산림의 현황파악 및 효율적인 산림관리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산림공간정보가 제작되고 서비스가 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비대면에 의한 산림서비스의 증진 및 지능형 산림재해 대응 등 K-포레스트의 16대 중점과제를 성공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산림공간정보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효과적인 K-포레스트 실현을 위한 산림공간정보의 발전 방안은 아래와 같다. 첫째, 산림공간정보의 효과적인 융합적 활용을 위한 표준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산림공간정보는 ‘산림’이라는 공통의 대상을 대상으로 현황파악 및 용도 등에 따라 구획이 되고 있다. 하지만 제작주체에 따라 산림의 경계불일치 등의 문제는 자료의 호환성 및 신뢰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표준화된 지침에 의한 공간정보 구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산림공간정보의 시의성 및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임상도의 경우에는 격년으로 촬영되는 항공사진의 판독으로 시의성 및 정확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산불 및 산사태 피해정보는 각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갱신되고 있으나 다른 산림공간정보에는 관련 내용이 뒤늦게 반영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산림은 복잡한 산악지형으로 지형에 따른 왜곡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지형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지형보정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로 산림공간정보의 통합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표준화된 지침과 다양한 목적에 따른 산림공간정보를 융합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산림공간정보를 담을 수 있는 데이터댐이 마련되어야 하며, 동일 산림에서 발생되는 모든 자연적 또는 인위적 이벤트가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최신 기술을 활용한 산림공간정보 제작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까지의 산림공간정보는 전문인력에 의한 공간구획이 수행되고 있으므로 전문가의 역량에 따른 정확도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위성영상 및 LiDAR 기술에 의한 디지털 자료를 활용하여 정량적인 기준 및 인공지능 기반의 공간구획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산림공간정보서비스(https://map.forest.go.kr)

[그림] 산림공간정보서비스(https://map.fores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