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공간정보 로고

1991년 공직에 입문한 이래, 30년간 지적 및 공간정보 업무를 해온 김평권 과장은 다양한 공간정보 관련 정책들의 중심에서 전문성을 발휘해 왔다. 그간 공간정보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아 2020년 11월, ‘대통령 표창’의 영예까지 안았다. 시대의 흐름 속에서 변화의 물결을 받아들이며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자세로 본분에 충실한 결과였다.

지적업무부터 드론까지, 변화에 도전해온
공간정보 전문가

전라북도 토지정보과 김평권 과장은 ‘공간정보’라는 개념이 확립되기 훨씬 전인 1991년 공직에 입문했다. 공직 초반 그는 측량을 통한 정확한 위치표시, 주소를 통한 위치정보 등 공간정보와 같은 맥락의 지적업무를 주로 담당했다. 하지만 ‘공간정보’의 개념 확립과 함께 디지털화, IT화가 가속화되는 등 변화의 물결에 직면하면서, 김평권 과장은 전라북도의 공간정보 분야가 성장 ·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나갔다. “2017년, 새만금개발청 파견을 마치고 도청으로 돌아오면서 토지정보과 ‘지적공간정보팀’ 업무를 책임지게 됐는데 그땐 솔직히 공간정보 업무가 낯설었어요.
  관련 토론회, 발표회 등에 찾아가 최신 정보들을 습득하며 공부하는 수밖에 없었죠. 그 과정에서 ‘지적측량 및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 등 각종 공간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며 점차 전문성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전라북도는 당시 4차 산업의 핵심인 드론(고정익 1대, 회전익 4대)을 선도적으로 도입하고, 2018년부터 고화질 영상 데이터를 축적하며 행정업무 지원에 나섰다.
  토지정보과 내에 공간정보 보안관리를 위한 ‘드론관측센터’를 마련하고 자체 드론TF팀도 조직 · 운영하고 있다. 과의 리더인 김평권 과장은 그 중심에서 팀원들의 업무역량 강화에 힘을 보태며 드론 운영의 묘를 꾀할 수 있도록 했고, 드론 활용시스템과 대민지원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해 도민의 공간정보 접근성을 높인 ‘공간정보 공유체계’를 마련하는 등 응용분야에도 기여했다. “해마다 수요조사를 통해 드론 촬영대상지를 선정하고 정사영상, 홍보영상 등을 촬영해 행정업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도 및 시 · 군에서 촬영한 고화질의 드론영상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드론관측통합관리시스템도 구축했죠. 이 시스템에서는 외부의 접근이 불가한 행정용 영상 데이터를 비롯해 민간이 활용할 수 있는 드론 영상들을 웹 기반 영상서비스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도민의 안전과 재산 보호, 편익증진이 최대 목표!

김평권 과장의 활약 속에 전라북도는 공공부문 공간정보 사업 분야에 있어, 전국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 중에서도 단연 괄목할 만한 성과를 쌓아왔다.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기초 행정구역 공간정보 구축사업’을 추진하며 행정 기초자료를 탄탄히 다진 것 또한 그 일환이다. 그간 행정 기초단위인 통 · 반의 경계를 명확히 결정하여 지적도 기반의 공간정보 DB를 구축함으로써 전입신고, 마을 간 경계 갈등 해소, 각종 선거사무, 마을 별 보조금 지원 등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행정 기초자료를 구축했다.
  김평권 과장은 장기적 측면에서 이 DB들이 주민 행정 서비스 사각지대 해소, 인구감소에 따른 행정구역 조정 업무에도 널리 쓰이게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지적재조사사업을 통해 전라북도 토지 중 15%에 달하는 불부합지를 재측량하고 이를 전산화하는 일들을 추진해 도민의 재산권 보호에 일조한 것도 눈에 띄는 성과다. 실제로 2000년대 초반까지 국내에서는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국토 침탈을 목적으로 측량해 만들었던 지적도를 사용했다. 때문에 부정확한 측량 정보와 종이 지적도의 훼손 · 변형의 문제로 토지소유자 간 경계분쟁이 발생함에 따라 연 3,800억 원의 소송 비용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한 것이 바로 지적재조사사업으로, 김평권 과장은 “도민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하고, 편익을 증진하는 것이야말로 공공분야에서 해야 할 공간정보의 최대 목표이자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공간정보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행정, 정보통신 등 여러 분야의 기초자료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공간정보와 관련 없는 분야가 없을 만큼 모든 영역을 아우르죠. 공간정보가 전통적인 측량이나 GIS 구축에 갇혀 있어서는 안 되는 이유입니다. 다양한 영역의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공간정보의 확장성을 살려 새로운 시각으로 행정업무의 든든한 지원군 역할을 해야 합니다.” 국가 주도의 공간정보 정책이 주를 이루고 있는 환경 속에서 지자체만의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의 필요성을 이야기하며, 표준화되고 세밀한 공간정보 데이터가 상호간 융 · 복합을 통해 의사결정의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 의견을 전하는 김평권 과장. 현장에서 쌓은 풍부한 실무 경험으로 공간정보의 미래를 고민하는 그의 애정과 통찰에 힘입어 전라북도에서부터 국토정보의 혁신이 일어날 것으로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