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종시에서는 시내를 누비는 자율주행 버스의 시연을 진행했다. 이르면 2022년부터 시민이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일본의 혼다는 내년 3월까지 세계 최초로 기계가 운전을 도맡는 ‘레벨3’ 차량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렇듯 성큼 다가온 자율주행차 시대를 맞아, 진화하고 있는 교통체계에 대해 알아본다.

교통 혼잡 해결하고 환경 개선하는
지능형교통체계(ITS)

지난 9월 11일, 국토교통부는 ‘2021년 지자체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지능형교통체 계) 및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 국고보조 사업’을 진행할 지자체 44곳을 선정해 발표했다. 한국형 뉴딜의 SOC 디지털화의 일환인 ITS 사업을 통해 교통 소통을 원활히 하고 더 안전한 자율주행차 시대를 열겠다는 것이다. ITS는 기존 교통체계에 정보와 통신, 제어, 전자 등 지능형 기술을 접목시킨 교통시스템으로, 1994년 고속도로와 국도를 대상으로 구축 사업이 시작됐다. 당시의 목적은 급증하는 교통량 에 대비해, 교통 혼잡을 해소하는 동시에 더 안전한 교통환경을 조성하는 것이었다. 교통방송, 하이패스, 교통카드 환승 서비스 등이 대표적인 서비스다. 실제로 ITS 도입 후 교통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응하는 신호 운영을 통해 차량 지체가 최소화됐고, 하이패스 등 무정차 통행료 지불시스템이 도입됨에 따라 톨게이트 등에서의 지체 시간이 단축됐다.
이러한 ITS는 자율주행차 시대 도래에 따라 더욱 주목받게 됐다.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판 단해서 움직여야 하는 자율주행차의 특성상, 기존 카메라나 센서 등을 통해 수집하는 근거리 정 보는 물론, 통신망을 이용한 원거리 정보 수집 또한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다만 센터를 중심으로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 간 교통정보를 한 방향으로 수집하고 제공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V2X 기반으로 자율주행 가능케 할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

이에 국토부는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스마트하이웨이 연구개발을 통해 C-ITS 기술개발을 완료했다. ITS가 검지기, 도로전광표지 등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장비 구축에 초점을 둔 반면, C-ITS는 위치정보는 물론 주행 상태정보까지 탑재해 차량 내부의 돌발 상황이나 과 속 및 신호위반 경고 나아가 V2X(Vehicle to Everything, 차량 간 통신)도 가능하다. 특히 V2X 는 완벽하고 안전한 자율주행차 시대를 열기 위한 핵심이다.
차량의 속도가 높은 상황에서 충돌을 예측하려면, 차량 간 정보를 전달하는 데 걸리는 지연시 간이 100ms(0.1초) 이하여야 한다. 반면 LTE나 5G 등 현재의 이동통신의 경우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를 항상 경유해야 하는 탓에 지연시간은 수백 ms에 달한다. 반면 V2X는 차량들이 바 로 서로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한 자율주행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다만 V2X의 특성과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도로변과 교차로마다 고정형 V2X 통신기인 RSU(Road Side Unit)을 설치하고 이를 인터넷이나 교통 신호등과 같은 인프라에 연결해야 한 다. 또한 일반 차량과 이륜차, 보행자 등에는 이동형 V2X 통신기인 OBU(On Board Unit)을 장 착해, OBU간 V2V(Vehicle to Vehicle, 차량과 차량 간 통신) 및 V2P(Vehicle to Pedestrian, 차량과 보행자 간 통신), V2I(Vehicle to Infra,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를 수행한다. C-ITS의 또 다른 핵심 축은 공간정보다. 탄탄한 교통 체계를 갖추려면 반드시 건물이나 도로의 정보가 필 요하기 때문이다. 2022년 레벨3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발맞춰, 국토부는 2021년부터 C-ITS 사업을 본격적으로 실시해 2025년까지 전국 고속도로에 C-ITS를 구축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레벨3 상용화와 C-ITS 서비스 제공시기가 맞아 떨어지면 더 안전한 자율주행이 가 능해질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