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당신의
오늘은
안전한가요?

수렵과 채집 시대에서 농경시대와 산업화 사회를 거쳐 현재의 데이터 사회에 이르기까지. 인류사회의 모습은 끊임없이 변해왔지만 안전(Safety)은 언제나 최우선 가치였다. 그리고 공간정보는 사회 발전에 따라 새롭게 발생한 위험요소에 대응하기 위한 예방 대책의 중추 역할을 해왔다.

안전과 위험 사이의 과학기술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는 상태. 안전(安全, Safety)에 대한 국어사전의 정의다. 단순한 정의와 달리 위험이나 사고의 종류는 시대별로 바뀌어 왔고, 안전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지만 우리는 여전히 안전하지 않다. 어쩌면 과학기술이 정점을 향해가고 있는 지금 오히려 그 어느 때보다 안전을 위협받고 있는지도 모른다. 신종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 기후 위기로 인한 재난과 재해, 사이버범죄를 비롯해 날로 고도화되는 각종 지능범죄 등. 교통수단과 통신의 발달은 감염병이나 기후변화 등에 따른 위험의 범위를 전 지구적으로 넓혔고 첨단 기술의 발전은 범죄의 종류는 물론 위험도를 급격히 높이고 있다.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Ulrich Beck)이 주장한 ‘현대 사회는 위험사회*’라는 정의가 맞아떨어지고 있는 셈이다. 구체적으로 울리히 벡은 ‘과학기술이 발전할수록 사회는 더 복잡해졌고, 단순한 사고들이 맞물리면서 결국 큰 사건으로 확장될 확률이 높아진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의 이 주장을 ‘과학기술이 위험의 주범’이라는 뜻으로만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과학기술은 위험도를 높인 원인 중 하나이기는 하지만 위험에 대응하는 대안을 동시에 제시해 왔기 때문이다.

* 「위험사회(Risikogesellschaft , Risk Society)」: 서구를 중심으로 한 산업화와 근대화에 경종을 울리기 위한 주장을 담은 책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위기, 기후 비상사태

기후 변화(Climate Change)라 불리던 용어가 어느덧 기후 비상사태(Climate Emergency)로 격상되어 불리기 시작했다. 온난화로 인한 날씨 변화가 기록적인 국지성 호우, 살인적인 폭염, 생물 다양성 위협에 이어 각종 참사를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가까운 예로는 2023년 7월 발생한 오송 지하차도 참사를 들 수 있다. 하지만 기후 비상사태로 인한 위협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엔 재난위험감축국(UNDRR)은 지난 20년간 기후 비상사태로 인한 재난이 매년 350~500건씩 발생했으며 2030년에는 매일 약 1.5건의 대형 재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한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물론 국제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기후 비상사태의 주된 원인인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태양광, 풍력, 지역, 수력 에너지 등 신재생 에너지 개발에 매진하는 것은 물론, 친환경 교통수단 활성화를 위한 움직임도 활발하다. 이산화탄소를 모아 활용하고 저장하는 기술이 완성되면 탄소중립 달성의 중추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른 한편 공간정보에 기반한 디지털트윈은 기후 비상사태로 인해 빈번히 발생하는 침수나 화재, 붕괴 등 재해와 재난 및 안전사고를 미리 시뮬레이션해 해법을 찾는 데 적극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록 이런 노력들로 기후 비상사태라는 큰 흐름을 막을 수는 없지만, 진행을 늦춘다면 인류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일터에서 동네까지, 생활 속 안전을 지킨다

일상 생활 속 안전은 전 지구적인 위기보다 어쩌면 더 중요하다. 일터와 가정, 지역 내에서 안전을 체감해야 평온하고 원만한 일상을 이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일터에서의 안전과 관련해 요즘 가장 중요한 이슈는 중대재해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다. 중대재해는 산업재해 중 사망 등 재해 정도가 심한 경우를 뜻하는데, 우리 정부는 2022년 1월 27일부터 중대재해에 대한 처벌법을 강화해 예방에 나섰다. 이에 따라 각 사업장에서는 법규를 준수하는 것은 물론 스마트 헬멧 등의 안전 장비, VR을 통한 안전 교육 등 첨단 ICT 기술을 적극 도입 중이다. 가정과 지역에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의 노력도 눈여겨볼 만하다. 행정안전부에서는 2021년부터 생활안전지도 누리집을 열어 범죄 주의 구간, 지하철 성범죄위험도 등 100종이 넘는 안전 정보를 제공해 왔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CCTV 설치, 범죄예방 안심 설계 등의 도입에 더해 안전교육을 강화하며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