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클라우드(G클라우드) 도입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지난해 정부가 ‘데이터경제’를 천명하면서 기반 시스템인 클라우드에 대한 관심 높아졌고 최근 발주하는 공공 차세대 사업 대부분에도 클라우드가 필수 기술로 들어간다. 특히 디지털 뉴딜 계획 가운데 공공분야 클라우드 확산은 주요 과제 중 하나로, 디지털 뉴딜이 본격화되는 내년부터 확산이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거스를 수 없는 대세 클라우드,
코로나19 이후 중요성 확대돼

우리나라는 2015년 세계에서 처음으로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클라우드법)을 제정했다. 공공분야에 클라우드를 확산시킨다는 목표 아래 2016년부터 2018년까지 1차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3년 동안 정부 주도로 클라우드 확산을 위한 새로운 사업과 지원을 이어갔지만 정부부처를 비롯해 공공 부문 클라우드 도입은 미흡했다. 그나마 공공기관이 서비스형인프라(IaaS)·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서비스형플랫폼(PaaS) 등을 속속 도입하면서, 2018년 기준으로 도입률을 40%까지 겨우 올렸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클라우드의 중요성이 한층 명확해지면서, 그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원격교육, 영상회의, 원격근무 등 대부분 비대면 서비스는 클라우드 환경 덕분에 가능했다. 일례로 EBS 온라인클래스에 최대 300만 명 학생을 동시 접속시키려면, 단기간에 끊김없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했다. EBS는 민간 클라우드 기업과 함께 300만 명이 동시 접속해도 무리 없이 원격 교육을 진행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EBS가 기존에 클라우드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았다면 코로나19 같은 비상상황에서 빠른 시간 내 대응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공공마스크앱 서비스에서도 클라우드가 빛을 발했다. 공공마스크앱 개발에는 정부가 지원해 개발한 PaaS 플랫폼인 ‘파스-타(PaaS-TA)’가 유용하게 사용됐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파스-타 위에 공공마스크앱 개발 기능을 올려놓고 누구나 쉽게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행정안전부 역시 코로나19 상황에서 G클라우드에 기반해 기반 원격업무를 했다. 업무에 필요한 자료를 클라우드 기반 ‘G드라이브’에 공유해 장소에 관계없이 업무를 처리하도록 한 것이다. 여러 직원이 원격에서 문서를 편집하는 ‘웹오피스’ 역시 클라우드 기반이었다.

클라우드 도입 대상
중앙부처까지 확대…
공공 확산 신호탄

정부는 지난해 공공클라우드 확산을 위한 2차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주요 골자는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이용 확대 △전자정부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확산 △클라우드 도입 관련 제도 개선 △전자정부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확산 등이다.
이 가운데 대표 정책은 민간 클라우드 도입 대상이 기존 공공기관에서 지자체와 중앙부처까지 확대됐다는 점이다. 정부는 이와 관련된 가이드라인을 지난해 12월 개정했다. 기존 민간 클라우드 이용 대상 시스템은 ‘안보, 수사·재판, 민감정보 처리 또는 개인정보 영향평가 대상 이외 시스템’으로 제한적이었다. 개정안에서는 ‘민감정보 처리 또는 개인정보 영향평가 대상 시스템’을 삭제했다. 국가 안보나 민감한 수사 등을 제외하고는 클라우드를 이용하도록 규제를 없앤 것이다.
특히, 기존에는 클라우드 보안인증을 받은 서비스(IaaS, SaaS)만 이용 가능하던 규정을 완화해, SaaS의 경우 간편등급 보안인증을 받은 제품도 이용할 수 있게 했다. 기업에 따라 6개월에서 1년이 걸리던 보안인증을 받기 위한 기간을 줄였다. 또, 공공부문에서도 더 다양한 SaaS 제품을 도입할 수 있게 됐다. 특히 각급 학교에서 교육 목적으로 SaaS를 이용하려는 경우에는 보안인증을 받지 않은 서비스 또는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뉴딜, 공공 클라우드 전면 도입

디지털 뉴딜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공공 분야 클라우드 전면 도입이 기대된다. 클라우드 디지털 뉴딜사업은 올해 △공공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면전환 두 가지 큰 축으로 진행된다.
정부는 올해 공공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에 1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공공부문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는 첨단 클라우드 서비스를 신속하게 개발하고 확산할 예정이다. 플래그십 사업 주제는 △비대면 복지 △교육 두 가지다. 비대면 복지의 경우, 대국민 맞춤형 서비스(주민편의 서비스, 사회문제 해결서비스 등)를 지원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 비대면 복지 서비스를 개발·제공할 예정이다. 교육 분야에서는 초·중·고, 대학, 평생 교육 등에 안전하고 탄력적으로 활용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교육 서비스를 개발·제공한다.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역시 2025년까지 클라우드로 전면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앞서 올해는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과 전산실 현황을 조사 중이다. 약 1200 개의 소관 센터와 전산실, 시스템, 민간 클라우드 도입 현황 등을 점검해, 클라우드센터 이전 또는 통합 관련 중기 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공공 클라우드 산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도 변모 중

정부와 공공 정보기술(IT) 지원을 총괄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도 2022년까지 ‘지능형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 전환’을 완료하고 2023년부터 G클라우드를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스마트 전자정부 서비스를 위해 행정기관 정보자원 수요를 모아 통합해 일괄 구축 및 공동 활용하고 필요한 기술과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것이 G클라우드의 목표다.
지능형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 전환은 기존 운영 중인 대전·광주센터와 신규 구축 중인 대구(2021년)·공주(2022년) 센터 간 자유롭게 서비스를 연계해 단일 센터처럼 자동 운영·관리하는 사업이다. 이중 대전 본원에서는 고용노동부 등 10개 기관 31개 업무를 소프트웨어정의데이터센터(SDDC) 기반 지능형 클라우드로 시범 전환한다.
SDDC는 서버(SDC)·스토리지(SDS)·네트워크(SDN)를 사람 개입 없이 소프트웨어로 자동제어하는 시스템이다. 하드웨어를 가상화해 도입 비용을 낮추고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민간에서는 SDDC를 이미 활발하게 도입 중이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해당 사업을 완료할 경우, 국산·공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비율이 50% 이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