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의 복잡화 및 대형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재난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만 보더라도 지난 10년간 재난으로 인해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었다. 2013년 구미 불산 누출 사고, 2014년 마우나 리조트 붕괴 사고, 2019년 태풍 미탁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재난에 적합한 대응방안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재난의 발생 양상, 진행 특성, 대응기구의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적화 된 해법을 찾아야 한다.

신속한 대응을 위해서는 고품질 ‘데이터’가 생명이다

국내 재난관리 체계는 2004년 3월 법 제정을 통해 체계화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제3조 1항,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감염병 또는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따른 가축전염병을 관리하고 있다. 또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4조 5항 재난 분야 위기관리 매뉴얼 작성 운용 및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에 따라 위기관리 매뉴얼을 작성·운용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은 국가 차원에서 관리가 필요한 재난에 대해 재난관리 체계와 관계기관의 임무와 역할을 규정한 문서이다.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에서 규정하는 임무와 역할에 따라 실제 재난대응에 필요한 조치사항 및 절차를 규정하기 위해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을 두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재난현장에서의 임무를 직접 수행하는 기관의 행동조치 절차를 구체적으로 수록한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이 있다. 따라서 현재 매뉴얼은 각 부처와 시도의 단위별로 재난 유형별 매뉴얼이 작성되어 현재 5,300여 개가 넘는 매뉴얼이 존재한다.국민의 안전이 최우선인 시대적인 요구와 함께 새로운 재난환경에 맞는 문제 해결형 대응을 위해 신속한 재난상황 인지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재난정보의 단순 수집, 보고, 전파 위주의 운영방식에서 벗어나 최적의 대응방안을 구현할 수 있도록 비상상황에서 신속하고 과학적인 현장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표출할 수 있는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공간정보 기반으로 최적의 대응방안을 모색하다

본고에서는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이 운영되고 있는 41종의 재난에 대해 한정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강원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한 산불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현황 분석은 재난대응 4단계에서 도출된 필수정보와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국가공간정보포털(nsdi.go.kr),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 국토정보플랫폼(map.ngii.go.kr) 등을 대상으로 했다.
재난 유형별 융복합이 가능한 공간정보는 다양하다. 실제로 활용이 가능한 수준의 품질로 제공할 수 있다면 재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의 기여도는 높아질 것이다. 재난발생 시 최적의 대피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정보는 행정경계, 도로망, 대피소 위치와 수용인원, 대피인원 등이다. 이러한 공간정보는 다양한 부처들에서 개별 관리되어 운영되고 갱신주기도 다양하다. 그런데 재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관된 품질을 기반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재난정보 융복합을 통해 아래 그림과 같이 재난발생 시 대피소로 최적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재난정보와 공간정보의 융복합을 위해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에 따르면 재난유형별 사고대응을 위해 필수정보를 재난발생 단계, 초기대응 단계, 수습·복구 단계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초기대응 단계는 상황 전파·보고 및 초동 단계와 중수본 운영 단계로 다시 구분되어 총 4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재난이 발생했을 때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발생, 대응, 복구의 단계별 필수정보들이 필요하며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에서는 이 부분을 정확히 명시해 좀 더 빠른 대응을 돕는다.
재난발생 단계에는 누출 즉시 조치내용 파악 및 원전에 대한 정보를 비롯해 사고 발생 시 기상, 해상, 해역정보가 필요하다. 어떤 사고인지 정확하게 파악해야 초기대응이 가능하다. 초기대응 단계는 상황 전파·보고 및 초동 단계와 중수본 운영 단계로 나눈다. 상황 전파·보고 및 초동 단계는 재난상황 연계부처 전파, 구조세력 확보, 대피 및 구호 관련 정보, 2차 피해 발생 가능·예방 관련 정보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부처 간 협업을 통해 빠르게 대응하고 신속히 구조에 나설 수 있다. 초동 단계가 잘 진행되면 본격적인 대응을 위해 중수본 운영 단계로 넘어간다. 이 단계에서는 사고 규모, 수색·구조 및 방재 작업, 방사능 방재 작업 시 기상, 라이프라인, 위험시설 등 다양한 정보가 필요한데, 본격적인 대응 단계로 꼽힌다. 이렇게 대응이 잘 마무리 되면 마지막으로 이를 수습·복구하는 단계가 남아있다. 수습·복구 관련 정보는 재난유형별로 다양할 수 있으나 주로 피해지역을 정확히 산정하는 데에 주력해야 한다.
원전사고의 경우, 방사능 누출량 등은 국가환경방사선자동감지정보를 통해 취득이 가능하고 기상정보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인명 구조를 위한 적정 보호장비의 구비, 방사선 치료와 제염을 위한 전문병원 및 의사수, 최단시간 이송을 위한 도로구간 등의 정보가 필요하다. 주변의 2차 피해 발생 예방을 위한 인근 양식장 및 연안 정보는 여객선마스터를 통해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중수본 운영 단계에서 교통을 위한 라이프라인 정보로는 역 정보, 열차 정보가 필요하다. 원자력 인근의 하수처리시설 정보도 중요하다. 이러한 재난정보를 보다 빠른 시간에 효율적으로 취합하기 위해 정부는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재난정보가 각 부처마다 독립적인 시스템에서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다면, 시스템 간 연계를 통해 최신 정보의 취득 및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확한 정보의 전달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시각적인 정보의 지원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영상정보 등의 활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초기대응 단계는 상황 전파·보고 및 초동 단계와 중수본 운영 단계로 나눈다. 상황 전파·보고 및 초동 단계는 재난상황 연계부처 전파, 구조세력확보,대피및구호관련 정보, 2차 피해 발생 가능·예방 관련 정보가필요하며이를통해부처간 협업을 통해 빠르게 대응하고 신속히 구조에나설수있다.



‘원전사고’에 적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정부에서 국가공간정보포털을 통해 제공하는 2019년도 최신 자료 목록 983종을 바탕으로 원전사고에 활용이 가능한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는 9종으로 집계됐다. 먼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기본 공간정보를 고려해볼 수 있다. 2차 피해 예방에 필요한 하천, 양식장, 철도, 공항의 공간정보는 수치지형도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최근 관심지점정보(POI: Point of Interest)를 국토정보플랫폼을 통해 서비스 하고 있는데 병원 의사수, 최인근 운용 가능한 헬기 및 항공기 정보 등의 연계가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방사능 누출 및 오염 면적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현황도를 활용할 수 있고, 도로구간정보는 국토교통부 도시계획정보시스템 또는 행정안전부 도로명주소시스템에서 서비스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국토정보시스템에서는 연안 관리를 비롯해 원자력, 제한구역 등의 용도지역정보 취득이 가능하며 자연해안관리도 및 현황도 등의 정보는 해양수산부에서 연계가 가능하다. 국가에서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로 운영하는 41종 전체 재난을 대상으로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도출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현명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시간 재난대응을 위한 고품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자

재난관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영상정보의 활용을 동시에 고려해볼 수 있다. 원전사고는 재난발생 범위가 광범위하고 인명 피해가 큰 재난이다. 이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필수정보별 적절한 영상정보의 활용이 요구된다.
먼저 기상정보는 광범위한 지역에 적용이 가능한 해상도 500m~1km급의 정지궤도 기상위성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방사능 인명 피해는 무인기나 지상의 다종 센서를 통한 현장의 실시간 영상정보의 수집이 효과적으로 판단된다. 재난발생 및 복구 시 필요한 방사능 누출 및 오염면적 등의 정보는 특정지역의 정보 취득이 가능한 1~3m급의 SAR 위성과 10m급 이하의 초소형위성과 다분광위성을 활용할 수 있다.
재난정보는 현재 행정안전부의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에서 수집하여 서비스 하고 있으며, 공간정보는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에서 대부분 수집하여 연계가 가능하다. 이들 정보는 부처 간 별도의 시스템으로 관리되고, 어떤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 최신의 정보인지 알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정보의 최신성과 품질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국가 행망 내에서 Open-API 서비스 등을 통해 연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산업육성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19-MOIS32-015)

* 참고문헌
김용균, 장효선, 최윤조, 손홍규, 2015, 최적 재난대응을 위한 재난유형 구분, 한국방재학회지, Vol. 15, No. 6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9, 재난안전 산업육성지원사업 1차년도 최종보고서
화학물질안전원, 2018, 자연재해로 인한 화학사고 대응체계 및 매뉴얼 개선 연구
박덕규, 조승현, 곽영길, 2015, 재난시 초기대응과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9(2)
M. J. Lee, H. S. Cho, S. K. Rheem, W. J. Choi, 2017, A Study on Simplification of Crisis Management Manual Through Unit Job Analysis, J. Korean Soc. Hazard Mitig., 17(3)
M. Geetha, M. Megha, A. S. Sarika, M. Muktha, N. R. Sethuraman, 2017, Detection and Estimation of the Extent of Flood from Crowd Sourced Image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 and Signal Processing, April 6-8, India K. B. Saran, G. Sreelekha, 2015, Traffic Video Surveillance: Vehicl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Communication & Computing India(ICCC), 19-21 November, Trivandrum
F. Junichi, K. Masashi, T. Eijiro, T. Satoshi, 2014, Remote Vertical Exploration by Active Scope Camera into Collapsed Buildings, 2014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IROS 2014), September 14-18, Chicago, IL,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