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시대를 앞당기는
공공데이터 개방

전 세계적으로 빅데이터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또 세계 각 나라들은 빅데이터 시대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각 나라들의 빅데이 터 활용 현황과 그 속에서 공간정보가 가지는 의미를 짚어 보자. 그리고 우리가 가야할 길을 진단해 보자.

Writer. 권헌영(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

나무와 바위, 강과 같은 장소는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약속의 장소였다. 이러한 장소들은 곧 랜드마크가 되었고, 랜드마크는 지도와 동일한 역할을 하였다. 즉, 랜드마크와 지도는 어디에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사람의 인식을 설명해 주는 것이 되었다. 공간정보는 어디에 누가 있는지, 무엇이 있는지 등 위치와 분포의 정보를 수치화한 것으로 사람에게 있어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정보이다.
어디에 무엇이 있고 누가 있는지 등의 정보는 어디에서 먹고, 어디 에서 살아야 하는지와 같이 기본적인 생활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 기 때문이다.
시대가 바뀌면서 지도도 크게 변화하였다. 기술의 발달로 지도가 사람보다 뛰어난 인식수준을 보이고 있다. 과거 사람이 지도를 인 식하던 것에서 이제는 기술이 사람을 인식하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 다. 지도를 근간으로 하는 공간정보 또한 생산과 활용의 방식이 달 라지고 있다. 종이지도를 기반으로 하던 과거의 공간정보는 위치 를 나타내는 것에 국한되었지만 최근의 공간정보는 장소가 지닌 자 연적·인문적 특성은 물론이고 하나의 장소가 사람 및 물건과 맺는 관계에 대한 상황정보도 포함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 이러한 공 간정보가 차곡차곡 쌓여 큰 더미를 이루기 시작했다. 바야흐로 빅 데이터 시대가 온 것이다.

데이터 혁명 시대, 공공데이터의 개방

급속한 데이터 혁명과 함께 빅데이터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데이터의 활용 기술과 능력이 국가의 핵심 경쟁력으로 떠올랐다.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는 글로벌 빅데이터 관련 시장이 2017년 1,508억 달러에서 2020년 2,10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1.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1) 빅데이터 분석기술 및 데이터인프라, AI나 5G 통신망 등과 같은 기술이 데이터 시대의 운명을 결정할 것으로 보았다. 빅데이터가 미래 경쟁력의 우위를 좌우하는 핵심자원이라고 본 것이다. 이에 따라 전 세계 여러 나라들은 전 산업 및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데이터 활용 기반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와 공공기관 등에서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와 공공데이터를 개방·제공하고 있다.

1) IDC, Big Data and Business Analytics Revenues Forecast to Reach $150.8 Billion This Year, Led by Banking and Manufacturing Investments, According to IDC, 2017.3. (https://www.idc.com/getdoc.jsp?containerId=prUS42371417)
주요국의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

빅데이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 다른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최근의 추세는 민간과 공공을 아우르는 문제해결형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공공의 영역에서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빅데이터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공공의 데이터와 민간 서비스가 융합하거나 혹은 분야별 데이터가 융합할 수 있게 되면서 고객 서비스 혁신은 물론 사회 전반의 혁신적 문제해결이 가능하게 되었다. 때문에 데이터를 활용하여 양질의 국가서비스를 개발하는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해외 주요 국가들은 정부 경쟁력의 핵심이 데이터 활용 역량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행정으로 체제를 전환하는 정부혁신에 돌입하기 시작하였다.

미국

미국은 정부 주도의 빅데이터 전략을 추진하고 정부 서비스 혁신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2년 2억 달러 규모의 ‘BigData R&D Initiative’를 수립하였고, 2016년 정부 사업 및 정책 관련 의사결정에 활용되는 증거자료(Evidence)를 개선하고자 ‘증거기반정책결정위원회법(Evidence-Based Policymaking Commission Act of 2016)’을 마련하였다. 이 법에 기반하여 설립된 ‘증거기반정책수립위원회’는 데이터 관련 정책연구와 증거자료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증거자료 구축을 정책사업 설계와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위원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연방정부의 정책수립을 위한 데이터의 접근성 향상 및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국가안전데이터서비스 기관의 설립을 권고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한 환경에서 증거기반의 정책입안을 실시하여 국민에게 신뢰도 높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시하였다.2)

2) Commission on Evidence-Based Policymaking, The Promise of Evidence-Based Policymaking-Report of the Commission on Evidence-Based Policymaking-, 2017.12. (https://www.cep.gov/content/dam/cep/report/cep-final-report.pdf)

빅데이터 시대를 앞당기는
공공데이터 개방

전 세계적으로 빅데이터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또 세계 각 나라들은 빅데이터 시대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각 나라들의 빅데이 터 활용 현황과 그 속에서 공간정보가 가지는 의미를 짚어 보자. 그리고 우리가 가야할 길을 진단해 보자.

Writer. 권헌영(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

나무와 바위, 강과 같은 장소는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약속의 장소였다. 이러한 장소들은 곧 랜드마크가 되었고, 랜드마크는 지도와 동일한 역할을 하였다. 즉, 랜드마크와 지도는 어디에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사람의 인식을 설명해 주는 것이 되었다. 공간정보는 어디에 누가 있는지, 무엇이 있는지 등 위치와 분포의 정보를 수치화한 것으로 사람에게 있어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정보이다.
어디에 무엇이 있고 누가 있는지 등의 정보는 어디에서 먹고, 어디 에서 살아야 하는지와 같이 기본적인 생활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 기 때문이다.
시대가 바뀌면서 지도도 크게 변화하였다. 기술의 발달로 지도가 사람보다 뛰어난 인식수준을 보이고 있다. 과거 사람이 지도를 인 식하던 것에서 이제는 기술이 사람을 인식하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 다. 지도를 근간으로 하는 공간정보 또한 생산과 활용의 방식이 달 라지고 있다. 종이지도를 기반으로 하던 과거의 공간정보는 위치 를 나타내는 것에 국한되었지만 최근의 공간정보는 장소가 지닌 자 연적·인문적 특성은 물론이고 하나의 장소가 사람 및 물건과 맺는 관계에 대한 상황정보도 포함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 이러한 공 간정보가 차곡차곡 쌓여 큰 더미를 이루기 시작했다. 바야흐로 빅 데이터 시대가 온 것이다.

데이터 혁명 시대, 공공데이터의 개방

급속한 데이터 혁명과 함께 빅데이터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데이터의 활용 기술과 능력이 국가의 핵심 경쟁력으로 떠올랐다.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는 글로벌 빅데이터 관련 시장이 2017년 1,508억 달러에서 2020년 2,10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1.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1) 빅데이터 분석기술 및 데이터인프라, AI나 5G 통신망 등과 같은 기술이 데이터 시대의 운명을 결정할 것으로 보았다. 빅데이터가 미래 경쟁력의 우위를 좌우하는 핵심자원이라고 본 것이다. 이에 따라 전 세계 여러 나라들은 전 산업 및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데이터 활용 기반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와 공공기관 등에서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와 공공데이터를 개방·제공하고 있다.

1) IDC, Big Data and Business Analytics Revenues Forecast to Reach $150.8 Billion This Year, Led by Banking and Manufacturing Investments, According to IDC, 2017.3. (https://www.idc.com/getdoc.jsp?containerId=prUS42371417)
주요국의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

빅데이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 다른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최근의 추세는 민간과 공공을 아우르는 문제해결형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공공의 영역에서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빅데이터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공공의 데이터와 민간 서비스가 융합하거나 혹은 분야별 데이터가 융합할 수 있게 되면서 고객 서비스 혁신은 물론 사회 전반의 혁신적 문제해결이 가능하게 되었다. 때문에 데이터를 활용하여 양질의 국가서비스를 개발하는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해외 주요 국가들은 정부 경쟁력의 핵심이 데이터 활용 역량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행정으로 체제를 전환하는 정부혁신에 돌입하기 시작하였다.

미국

미국은 정부 주도의 빅데이터 전략을 추진하고 정부 서비스 혁신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2년 2억 달러 규모의 ‘BigData R&D Initiative’를 수립하였고, 2016년 정부 사업 및 정책 관련 의사결정에 활용되는 증거자료(Evidence)를 개선하고자 ‘증거기반정책결정위원회법(Evidence-Based Policymaking Commission Act of 2016)’을 마련하였다. 이 법에 기반하여 설립된 ‘증거기반정책수립위원회’는 데이터 관련 정책연구와 증거자료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증거자료 구축을 정책사업 설계와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위원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연방정부의 정책수립을 위한 데이터의 접근성 향상 및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국가안전데이터서비스 기관의 설립을 권고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한 환경에서 증거기반의 정책입안을 실시하여 국민에게 신뢰도 높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시하였다.2)

2) Commission on Evidence-Based Policymaking, The Promise of Evidence-Based Policymaking-Report of the Commission on Evidence-Based Policymaking-, 2017.12. (https://www.cep.gov/content/dam/cep/report/cep-final-report.pdf)
영국

영국은 적극적인 공공데이터 정책과 함께 2013년 ‘UK Data Capability Strategy: Seizing the Data Opportunity’를 발표하고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인프라 및 SW개발, 공공데이터의 접근성과 안전성 확보 등을 강조하면서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보건·복지, 교육, 범죄 등 7개의 주요 정책분야에 빅데이터센터인 ‘WWC(What Works Centre)’를 설립·운영하고 있다. 영국의 지방정부 연합체(LGA, Local Government Association)는 지방정부 공공데이터의 서비스질과 성과를 높이기 위해 환경,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GIS)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FindMap’4)이라는 서비스는 하천네트워크, 토양 투수성, 홍수 위험 평가 등 50개 이상의 공공데이터를 게재하는 WebGIS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공공데이터를 2차적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영국의 공공데이터 제공 홈페이지 ‘Data.gov(www.data.gov.uk)’는 각종 공공데이터뿐만 아니라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자료, 관련 앱 서비스 사례를 제공한다. 일례로 ‘Walkonomics’는 각종 커뮤니티를 통해 사람들이 거리의 위생이나 접근성, 디자인 또는 치안 등 관련 정보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이를 기반으로 등급을 매기며 지도를 작성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이다. 오픈 데이터와 클라우드 소싱이 연계된 서비스를 통해 도시 및 거리 관리 정책에 활용이 가능하다. ‘Floodalerts API’는 바다나 강 등에서 범람을 미리 예측하고 지속적인 관측 모니터링을 하는 서비스다. 영국 환경청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와 연결하여 경보, 위험 표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5)

일본

일본은 동일본대지진을 계기로 데이터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빅데이터를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적 자원으로 평가하였다. 2012년 ‘액티브 재팬 ICT(Active Japan ICT)’, ‘일본재흥전략(日本再興戰略)’ 등에서 빅데이터의 활용을 통해 사회 혁신을 도모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 2017년 국가·지자체·민간기업이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사업을 창출하고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관민 데이터 활용 추진 기본법’을 제정한 바 있다. 특히 일본은 지방창생 사업의 일환으로 산업, 인구, 사회인프라 등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지역에 적절한과제를 도출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지역경제분석시스템(resas.go.jp)’을 구축하여 2015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 시스템은 국가가 지역경제에 관한 다양한 빅데이터를 수집·제공함으로써 지자체가 효과적으로 지역의 종합전략을 수립·실행·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일본의 지역경제분석시스템은 지역의 현상과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미래 모습을 객관적으로 예측함으로써 지역특성을 반영한 자발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입안을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산업지도, 지역경제순환지도, 농림수산업지도, 관광지도, 인구지도, 지자체 비교지도 등 6개의 메뉴가 개발·제공 중에 있다.6)
일례로 홋카이도의 니세코 지역(北海道ニセコ町)에서는 지역경제순환지도와 산업구조지도, 관광지도 등을 활용하여 음식을 통한 마을의 관광촉진 전략을 제공하며 군마현 오타시에서는 인구지도, 산업구조지도 등을 활용하여 육아중인 여성의 취업 지원을 위한 시책을 마련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해 다양하게 활용 되고 있다.7)

3) http://www.cityofdubuque.org/140/GISMapping
4) https://www.findmaps.co.uk/
5)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행복도시 빅데이터 활용방안, 2015.
6) 차미숙, 인구감소시대, 일본의 지방창생전략과 지역공간구조 재편방안,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2016
7) https://resas.go.jp/case/#/13/13101
영국

영국은 적극적인 공공데이터 정책과 함께 2013년 ‘UK Data Capability Strategy: Seizing the Data Opportunity’를 발표하고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인프라 및 SW개발, 공공데이터의 접근성과 안전성 확보 등을 강조하면서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보건·복지, 교육, 범죄 등 7개의 주요 정책분야에 빅데이터센터인 ‘WWC(What Works Centre)’를 설립·운영하고 있다. 영국의 지방정부 연합체(LGA, Local Government Association)는 지방정부 공공데이터의 서비스질과 성과를 높이기 위해 환경,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GIS)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FindMap’4)이라는 서비스는 하천네트워크, 토양 투수성, 홍수 위험 평가 등 50개 이상의 공공데이터를 게재하는 WebGIS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공공데이터를 2차적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영국의 공공데이터 제공 홈페이지 ‘Data.gov(www.data.gov.uk)’는 각종 공공데이터뿐만 아니라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자료, 관련 앱 서비스 사례를 제공한다. 일례로 ‘Walkonomics’는 각종 커뮤니티를 통해 사람들이 거리의 위생이나 접근성, 디자인 또는 치안 등 관련 정보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이를 기반으로 등급을 매기며 지도를 작성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이다. 오픈 데이터와 클라우드 소싱이 연계된 서비스를 통해 도시 및 거리 관리 정책에 활용이 가능하다. ‘Floodalerts API’는 바다나 강 등에서 범람을 미리 예측하고 지속적인 관측 모니터링을 하는 서비스다. 영국 환경청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와 연결하여 경보, 위험 표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5)

일본

일본은 동일본대지진을 계기로 데이터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빅데이터를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적 자원으로 평가하였다. 2012년 ‘액티브 재팬 ICT(Active Japan ICT)’, ‘일본재흥전략(日本再興戰略)’ 등에서 빅데이터의 활용을 통해 사회 혁신을 도모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 2017년 국가·지자체·민간기업이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사업을 창출하고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관민 데이터 활용 추진 기본법’을 제정한 바 있다. 특히 일본은 지방창생 사업의 일환으로 산업, 인구, 사회인프라 등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지역에 적절한과제를 도출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지역경제분석시스템(resas.go.jp)’을 구축하여 2015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 시스템은 국가가 지역경제에 관한 다양한 빅데이터를 수집·제공함으로써 지자체가 효과적으로 지역의 종합전략을 수립·실행·검증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일본의 지역경제분석시스템은 지역의 현상과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미래 모습을 객관적으로 예측함으로써 지역특성을 반영한 자발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입안을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산업지도, 지역경제순환지도, 농림수산업지도, 관광지도, 인구지도, 지자체 비교지도 등 6개의 메뉴가 개발·제공 중에 있다.6)
일례로 홋카이도의 니세코 지역(北海道ニセコ町)에서는 지역경제순환지도와 산업구조지도, 관광지도 등을 활용하여 음식을 통한 마을의 관광촉진 전략을 제공하며 군마현 오타시에서는 인구지도, 산업구조지도 등을 활용하여 육아중인 여성의 취업 지원을 위한 시책을 마련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해 다양하게 활용 되고 있다.7)

3) http://www.cityofdubuque.org/140/GISMapping
4) https://www.findmaps.co.uk/
5)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행복도시 빅데이터 활용방안, 2015.
6) 차미숙, 인구감소시대, 일본의 지방창생전략과 지역공간구조 재편방안,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2016
7) https://resas.go.jp/case/#/13/13101

해외 주요 국가들은 정부 경쟁력의
핵심이 데이터 활용 역량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행정으로 전환하는
정부혁신에 돌입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공공빅데이터센터’

빅데이터를 공공분야와 정부정책에 활용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 라 우리 정부도 적극적으로 빅데이터를 정부정책에 활용하기 위 해 노력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의 빅데이터 공통기반시스템(혜안, insight.g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빅데이터센터(kbig.kr), 보건의료 관련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보건복지부의 보건의료 빅데 이터센터(2018년 설치 예정), 기상기후 관련 빅데이터 시스템인 기상청의 날씨마루(bd.kma.go.kr)가 대표적인 예이다. 공간정 보의 경우에도 국토교통부에서 공간정보 관련 시스템 구축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을 지원하며, 교통카드 빅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분 석용 데이터와 분석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각 분야별로 빅데이터센터가 따로 설립·운영됨으로써 특정 부처나 정책영역을 중심으로 데이 터 분석이 이루어지거나 유사 분석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 에 정부는 2017년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 고, 통합데이터분석기능과 공공·민간 빅데이터센터의 허브 기능 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공공빅데이터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게 되었다. 동 센터는 정부통합데이터분석을 통해 국민 의견과 반응을 심층 분석하여 사회갈등을 조기에 인지하고, 신속한 대책 마련을 지원한다. 또한 범죄·화재 등 안전사고 및 각종 질병에 대 해 사전에 위험요소를 예측하여 선제적으로 위험성을 제거·예방 하고, 국정과제, 사회현안 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안별 효과성을 비 교·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공공기관 및 민간 분야의 빅데이터 센터와 협력관계망을 구성하여 협업을 유도하고 원천 데이터를 가공하여 타 분석기관에서 추가 가공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분석전용 데이터를 생성·제공할 계획이다.8)

빅데이터 시대와 공간정보

빅데이터 시대의 공간정보에 대해 예측해 본다면 공간정보는 다양 한 데이터들과 융·복합함으로써 더 큰 가치를 발현할 가능성이 있 다. 특히 도로와 하천, 산림, 지하시설, 건물 등 공간의 실제 이용현 황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조사·제공하고 이를 이용·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국토의 효율적 이용뿐만 아니라 재난과 재해의 방지, 환경보호 등 다양한 측면에서도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관 점에서 해외의 다양한 데이터 활용 사례는 많은 시사점을 준다. 단 순히 위치정보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 자의 데이터 활용편의를 제고하고 있음은 물론 융합·활용·활성화 의 측면을 고려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공간정보를 비롯한 공공데이터의 개방의 양 적성과는 우수한 편이나 활용효과는 여전히 미흡한 편이다. 이는 데이터 간 융합이 어렵 다는 점과 속성 데이터의 부재로 인한 품질문제로 공간데이터의 융 합·활용이 미진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공공 간, 공공과 민간 간의 공간데이터 융합 촉진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이 부 재한 것도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한편 해외 주요국들이 데이터 활용하면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재난과 안전, 지역경제 활성화 등 보편적인 사회 문제 전반을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 다는 점도 의미있게 살펴봐야 한다.
빅데이터를 잘 쓰려면 공간데이터를 잘 쓰는 것이 핵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공빅데이터센터는 장소와 공간별로 사람이 인식 하는 모든 것을 담고 있는 공간정보를 여러 빅데이터들과 잘 융합 할 수 있도록 허브기능을 충실히 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공공빅데 이터센터의 구축·운영을 통해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의 기초자료 로 활용하고, 과학적 분석을 통한 정책적 의사결정을 기초로 보다 양질의 국가서비스를 개발·제공하며 더불어 데이터 활용의 선도 적 국가로 발돋움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8) 행정안전부, “공공빅데이터센터 구축 본격 추진-통합데이터 분석 및 민간·공공 빅데이터센터간 허브기능 수행-”, 2017년 1월 18일자 보도자료.
9) 박종택·사공호상, 해외 선진국의 공간데이터 개방전략과 시사점,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2015, 3면.

해외 주요 국가들은 정부 경쟁력의
핵심이 데이터 활용 역량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행정으로 전환하는
정부혁신에 돌입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공공빅데이터센터’

빅데이터를 공공분야와 정부정책에 활용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 라 우리 정부도 적극적으로 빅데이터를 정부정책에 활용하기 위 해 노력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의 빅데이터 공통기반시스템(혜안, insight.g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빅데이터센터(kbig.kr), 보건의료 관련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보건복지부의 보건의료 빅데 이터센터(2018년 설치 예정), 기상기후 관련 빅데이터 시스템인 기상청의 날씨마루(bd.kma.go.kr)가 대표적인 예이다. 공간정 보의 경우에도 국토교통부에서 공간정보 관련 시스템 구축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을 지원하며, 교통카드 빅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분 석용 데이터와 분석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각 분야별로 빅데이터센터가 따로 설립·운영됨으로써 특정 부처나 정책영역을 중심으로 데이 터 분석이 이루어지거나 유사 분석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 에 정부는 2017년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 고, 통합데이터분석기능과 공공·민간 빅데이터센터의 허브 기능 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공공빅데이터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게 되었다. 동 센터는 정부통합데이터분석을 통해 국민 의견과 반응을 심층 분석하여 사회갈등을 조기에 인지하고, 신속한 대책 마련을 지원한다. 또한 범죄·화재 등 안전사고 및 각종 질병에 대 해 사전에 위험요소를 예측하여 선제적으로 위험성을 제거·예방 하고, 국정과제, 사회현안 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안별 효과성을 비 교·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공공기관 및 민간 분야의 빅데이터 센터와 협력관계망을 구성하여 협업을 유도하고 원천 데이터를 가공하여 타 분석기관에서 추가 가공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분석전용 데이터를 생성·제공할 계획이다.8)

빅데이터 시대와 공간정보

빅데이터 시대의 공간정보에 대해 예측해 본다면 공간정보는 다양 한 데이터들과 융·복합함으로써 더 큰 가치를 발현할 가능성이 있 다. 특히 도로와 하천, 산림, 지하시설, 건물 등 공간의 실제 이용현 황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조사·제공하고 이를 이용·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국토의 효율적 이용뿐만 아니라 재난과 재해의 방지, 환경보호 등 다양한 측면에서도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관 점에서 해외의 다양한 데이터 활용 사례는 많은 시사점을 준다. 단 순히 위치정보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 자의 데이터 활용편의를 제고하고 있음은 물론 융합·활용·활성화 의 측면을 고려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공간정보를 비롯한 공공데이터의 개방의 양 적성과는 우수한 편이나 활용효과는 여전히 미흡한 편이다. 이는 데이터 간 융합이 어렵 다는 점과 속성 데이터의 부재로 인한 품질문제로 공간데이터의 융 합·활용이 미진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공공 간, 공공과 민간 간의 공간데이터 융합 촉진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이 부 재한 것도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한편 해외 주요국들이 데이터 활용하면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재난과 안전, 지역경제 활성화 등 보편적인 사회 문제 전반을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 다는 점도 의미있게 살펴봐야 한다.
빅데이터를 잘 쓰려면 공간데이터를 잘 쓰는 것이 핵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공빅데이터센터는 장소와 공간별로 사람이 인식 하는 모든 것을 담고 있는 공간정보를 여러 빅데이터들과 잘 융합 할 수 있도록 허브기능을 충실히 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공공빅데 이터센터의 구축·운영을 통해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의 기초자료 로 활용하고, 과학적 분석을 통한 정책적 의사결정을 기초로 보다 양질의 국가서비스를 개발·제공하며 더불어 데이터 활용의 선도 적 국가로 발돋움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8) 행정안전부, “공공빅데이터센터 구축 본격 추진-통합데이터 분석 및 민간·공공 빅데이터센터간 허브기능 수행-”, 2017년 1월 18일자 보도자료.
9) 박종택·사공호상, 해외 선진국의 공간데이터 개방전략과 시사점,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2015,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