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 알쓸신잡

알고보면 쓸모 있는 新 잡다한 지식

세상에 쓸모없는 정보는 없다. 알아 두면 쓸모 있는 새로운 정보, 공간정보 알쓸신잡. 이번에는 자동차업계가 카 셰어링 시장으로 몰려드는 이유와 드론 택배를 언제쯤 볼 수 있을지에 대해 소개한다.

 

자동차 업계가 카 셰어링으로 몰리는 이유

차량공유(카 셰어링) 산업은 최근 들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2017년 360억 달러였던 글로벌 차량공유 시장 규모가 2850억 달러로 8배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 자동차 업계는 앞 다투어 차량공유 산업에 뛰어들고 있다. 미국의 자동차업계 GM은 2016년 차랑 공유서비스 회사 ‘메이븐’을 설립하여 운영 중이고, 미국 2위 차량공유업체인 리프트에 5억 달러를 투자한 바 있다. 독일의 다임러는 2008년 독일에서 자회사 ‘카투고(car2go)’를 설립해 차량공유 서비스를 시작했다. 카투고는 현재 유럽·미국·아시아 등 전 세계 26개 도시에서 서비스 중이다. 일본의 도요타는 우버에 1억 달러를 투자하면서 전략적인 파트너십을 체결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렇게 자동차 업계가 차량공유 산업으로 몰리는 까닭은 단순히 시장확산 기대 때문만이 아니다. 바로 자율주행 때문이다. 자율주행차를 공유하게 된다면 굳이 자동차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위치까지 자동차가 저절로 배달되고, 반납 또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또, 내가 원하는 자동차를 얼마든지 골라 탈 수도 있다. 이렇게 된다면 굳이 차량을 구매하지 않고도 필요한 때에 자동차를 이용할 수 있다. 자연스럽게 자동차의 구매량은 줄어들게 될 것이고, 자동차의 최대구매자는 자연스럽게 차량공유 시스템을 갖춘 업체가 될 것이다.

컨설팅 업체 맥킨지도 2030년에 일반소비자의 자동차 구매가 연간 400만대 감소하고, 차량공유업체의 구매가 200만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유럽 최대 컨설팅업체 롤랜드버거 또한, 2030년 카셰어링 시장이 전체 자동차산업의 40%까지 차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론 자율주행차의 상용화 시기가 빨라질수록 그 차량공유 서비스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과 함께.

드론 택배 언제 볼 수 있을까

2013년 12월 아마존은 택배 드론 ‘프라임 에어’를 발표해 세상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집 문앞으로 드론이 날아와 물건을 내려놓는 장면은 곧바로 눈앞으로 다가오는 듯했다. 그러나 5년이 지난 지금 드론의 택배 활용이 본격화됐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없다. 드론은 하늘길로 달려 물류의 시공간 제약을 뛰어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여러 가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우선 비행시간과 거리의 제약을 받는다. 택배용 드론의 비행시간은 1시간을 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동거리도 10km를 넘지 못한다. 배터리 기술의 한계 때문에 비행시간과 비행 거리의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 또한 택배 수요가 집중되는 도시 지역에서는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충돌 등 위험요인도 많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각 국가별로 시행중인 비행 규제 때문에 드론을 이용한 물류는 실현에 제한을 받고 있다. 때문에 드론을 활용한 배송은 빠르게 현실화되지 못했다. 그렇지만 최근 들어 드론 택배 관련한 기술의 발전과 제도의 개선이 발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가장 앞선 행보를 보이는 것은 중국이다. 중국의 일부 성에서는 택배회사에게 업무용 드론 운영 허가를 내주었고, 택배회사는 동시에 여러 사람에게 물품을 배달하는 행사를 벌이기도 했다. 또, 징동닷컴이라는 회사는 현재 화물 50kg까지 배송할 수 있는 드론을 운용 중이며, 3년 내에 500kg까지 실을 수 있는 드론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한다. 또 드론택배 전용 공항을 마련하여, 드론 배송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는 발표도 있었다. 드론 규제가 심한 국가로 꼽혔던 미국 정부도 올해 들어 5월 상업용 드론 배송 시험프로그램을 시행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2017년 11월 우정사업본부가 4km 거리의 바다를 건너 직접 우편물을 배송한 시범 운영 사례가 있었고, 뒤이어 국토부에서 2021년까지 K-드론 시스템을 개발해 무인항공 시대를 선도하겠는 정책 발표도 있었다. 이렇듯 기술 개발과 제도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서울과 같은 도심에서 드론으로 택배를 받기까지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드론이 시험되고 있는 곳들은 대부분 도서·산간·벽지들이기 때문이다. 복잡한 도로·주소체계에 대한 정비 및 입체 주소 체계 정비, 비행금지 구역 해제 등 풀어야 할 숙제들이 많다. 우정사업본부에서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도서 산간지역 10곳에 대해 드론 배송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2022년에는 드론 배송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행정안전부는 2017년 12월 ‘제 3차 주소정책 추진 종합계획’을 발표하여 주소체계를 입체화 및 고도화하는 계획을 제시했다.